본문 바로가기

서프라이즈

깨어나지 못한 자 [수면병][서프라이즈]

 

 

2014년 10월 카자흐스탄 카라치

 

인구 680명의 작은 마을 사람들은 한번 잠들면 깨어나지 못했다.

 

2014년 10월 평화로웠던 이마을에 이상한 일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한번 잠들면 아무리 흔들어 깨워도 일어나지 못하는 주민이 속출했는데 이들은 짧으면 이틀에서 길게는 일주일까지 잠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또한 가까스로 잠에서 깨어난 후에도 잠들기전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잠에서 깨어난지 몇시간 후에도 몸을 가누지 못했다. 심지어 일시적으로 온몸이 마비되기 까지 했는데 뿐만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던중 갑자기 잠이드는 주민도 속출했다. 어떤 장을보던여성은 어지럼증을 느끼다가 잠이 들었고 공장에서 일을하던 남성도 졸음을 이기지 못하고 그대로 쓰러져 잠들었다.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몇일동안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거나 일상 생활을 하던중 갑자기 잠이든 주민들의 수는 120명에 달했는데 이는 카라치 마을주민 680명 가운데 20%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또한 2세아이부터 80세 노인까지 연령대와 상관없이 이런증상이 발생했으며 일부주민들은 몇번이나 반복해서 겪기도 했다. 그러자 주민들은 극도의 불안 감에 휩싸였다.

 

 

 

 

갑자기 잠이드는 주민

 

사실 주민들 사이에서 이런증상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 아니었는데 1년전인 2013년 4월에도 일부 주민들이 잠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2~3일안에 잠에서 깨어났고 그수도 10여명에 불과했다. 그런데 2014년 10월부터 다시 주민들이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더니 이런증상을 겪는 주민들이 속출했고 그대상은 어린이들까지 확산된 것이다. 의사들은 병원에 찾아온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밀 검사를 실시 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그러자 카자흐스탄 언론은 카라치마을 주민들이 집단으로 원인모를 수면병에 걸렸다며 대서득필 했고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아크몰라주 보건국에서 조사에 나섰다. 얼마후 아크몰라주 보건국장 타시메토브는 주민들이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수면병 sleeping sickness 때문이라고 공식발표했다. 이유는 즉 잠을 관장하는 히포크레틴 세포가 손상되었기 때문이라 설명했는데

 

히포크레틴이란?

잠을 관장하는 뇌의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세포로 뇌를 깨어있는 상태로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히포크레틴 세포가 급감하면서 갑자기 졸음을 느끼거나 잠에서 깨지 못한다.

 

 

 

 

 

흔들어 깨워도 일어나지 못한다.

 

카라치 마을은 12월 평균기온이 -18도에 머물정도로 추운지역이지만 2014년 겨울에는 이상기온 현상으로 평균기온이 5도이상 상승했는데 이런 기온변화때문에 주민들의 면역기능이 저하되면서 히포크레틴 세포가 급감했고 자신의 의지대로 잠을 조절하지 못하게 된것이다.  그런데 학자들은 아크몰라주 보건국의 발표에 대해 반박했다. 만약 카라치 마을 주민들이 급격한 기온변화때문에 수면병이 발생한 것이라면 인근 마을 주민도 수면병을 겪어야 하는데 인근 다른마을에서는 수면병 환자가 단한명도 발생하지 않았던것이다. 이에 학자들은 수면병의 원인이 에코노모 뇌염 때문일 수도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에코노모 뇌염이란?

1917년~1926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수백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질병으로 이병에 걸리게되면 어지럼증을 호소하다가 몇일동안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는데 이후 깨어나고 다시자는 증상을 반복하다가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심할경우 사망에 이른다. 

 

하지만 전세계를 휩쓸던 에코노모 뇌염은 1926년 거짓말처럼 갑자기 사라졌는데 지금까지도 코나 입을통해 인체로 들어온 기생충이 잠을관장하는 뇌의 시상하부로를 손상한것으로 추츶만할뿐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어지럼증을 호소하다가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수면병의 증상이 에코노모 뇌염의 초기 증상과 흡사한것 수십년만에 에코노모 뇌염이 다시 발병했을 가능성이 있다는것이다. 그러나 학자들은 사라졌던 에코노모 뇌염이 왜 다시나타난것인지 설명하지 못했다.

 

 

 

우라늄광산

 

그러자 주민들은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수면병의 원인이 마을인근의 우라늄 광산 때문이라는것이다. 크라스노고르스크 라고 불리는 이광산은 카라치 마을에서 불과 60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데 카자흐스탄이 소비에트 연방에 속해있던 1950년대 개발이 시작된후 연간 수백만톤의 우라늄이 생산되었고 우라늄은 소련으로 보내져 핵무기 연구와 제조에 사용되었다. 한때 광산 종사자가 6,500명일 정도로 규모가 컸지만 1991년 소련이 붕괴되면서 갑자기 문을 닫았는데 채취하고 남은 우라늄과 우라늄 채취에 썼던 장비들은 방사선 물질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으로 옮겨야 하지만 광산 안에 그대로 방치되었다. 주민들은 이를 근거로 방치된 우라늄이 물과 토양을 통해 인체로 흡수되었고 결국 주민들이 방사능에 피폭되면서 수면병에 걸린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언론은 아크몰라주 보건국이 가장 유력한 원인인 우라늄광산에 방사능 수치조차 측정하지 않고 허술하게 조사를 마쳤다며 맹비난했는데 비난 여론이 빗발치자 카자흐스탄 정부가 직접 조사에 나섰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톰스크 공대 화학과 출신인 레오니드 교수를 중심으로 특수조사팀을 꾸렸고 특수조사팀을 마을로 파견해 마을주변의 식수와 토양에 방사능 수치를 조사했는데 마을의 방사능 수치는 정상범위인 0.3 마이크로시버트 였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수면병과 우라늄 광산 사이에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밝혔다. 그후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조사를 했음에도 수면병의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자 카자흐스탄 당국은 카라치마을 주민들을 집단 이주시키기로 결정했다.  

 

인구 680명의 작은 마을 카라치에서 갑자기 발생한 수면병 주민들은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거나 갑자기 잠드는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지만 지금까지도 수면병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영상자료